<p></p><br /><br />일본 정부가 세계문화유산으로 추진 중인 사도광산, 일본은 조선인 강제징용 역사를 쏙 빼놓고 있죠.<br><br>그런데 저희 채널에이가 만난 사도 시 주민들은 오히려 착잡해합니다.<br><br>“다 망가진 광산이 무슨 유산이냐”, 일본인들이 반문하는 이유를 알아봤습니다.<br> <br><세계를 가다> 김민지 도쿄 특파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 세계문화유산 추천을 자랑하는 현수막이 걸렸지만 찾는 관광객은 거의 없습니다. <br><br> 입구부터 코스가 나뉘고 전체 갱도 400km 중 일부만 공개됩니다. <br><br> 특히 일본 정부가 유산으로 추진하는 에도시대 광산은 갱도 내 수작업 과정까지 자세히 소개하며 역사박물관까지 길이 이어져있습니다. <br><br> 또다른 코스인 근대시대 갱도도 찾았습니다. <br> <br> 당시 유산도 아닌 술 보관창고가 버젓이 자리를 차지합니다. <br><br>"이곳은 근대시대에 만들어진 사도 광산입니다. <br> <br>에도시대에 비하면 전시물도 부족하고 조선인 강제노동에 대한 설명은 전혀 없습니다." <br><br> 광산 밖에는 기계와 일부 시설이 덩그러니 놓여있습니다. <br> <br> 조선인 1200명 정도가 살았던 기숙사는 형무소로 바뀌어 있습니다. <br> <br> 대다수 흔적은 사라졌지만 조선인 강제동원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입니다. <br><br> 담배배급 문서에 한국식 이름이 보이고 31년 전에는 조선인 강제연행을 반성하는 자리도 있었습니다. <br><br>[사도 주민]<br>"'사도광산은 이런 곳이야', '저런 일이 있었어'라고 들어왔기 때문에 복잡한 마음입니다." <br><br>[강동진 / 유네스코 자문기구 이사] <br>"강제동원 때문에 앞쪽으로 시기를 조정하다 보니까 생기는 유산의 완전성이 혼돈에 빠질 수밖에 없는 거죠." <br><br> 그래도 일본 정부가 무리하게 등록을 추진하는 이유 중 하나는 지역 경제 살리기.<br> <br>[하기하라/ 사도 주민] <br>"(가게들이) 문 닫은 거리가 됐죠. 사도섬 사활을 건 문제니까 세계유산 추진은 정말 필요합니다." <br> <br>[나가타/ 사도 주민] <br>"고령화가 멈추는 새로운 경제모델이 될 수 있는 기폭제가 되는 거죠." <br> <br> 퇴임했지만 '상왕' 같은 역할을 하고 있는 아베 전 총리 등 우익의 압박도 추진 강행으로 이어졌습니다. <br> <br> 군함도의 세계문화유산 등재 뒤 7년이 지나도 강제징용 희생자 추모 공간 설치 약속은 여전히 지켜지지 않지만 또다른 역사왜곡으로 국제사회의 인정을 받겠다는 겁니다. <br> <br> 사도광산의 유산 추진을 바라보는 일부 정치인과 주민들은 착잡합니다. <br> <br>[아라이 마리/사도시 의원] <br>"(주민들은) 없앨 돈도 없으니까 방치하는 것을 왜 유산이냐고 해요." <br> <br> 노예와 다름 없는 생활과 강제연행의 증거가 남아있지만 눈 감는 일본 정부의 행태에 쓴소리가 이어집니다. <br> <br>[아라이 마리/사도시 의원] <br>"문제없는 것만 골라서 전혀 강제 연행이 아니다? <br>잘못된 방식으로 일할 수밖에 없었던 것은 사실입니다." <br> <br>사도섬에서 채널A 뉴스 김민지입니다. <br> <br>김민지 도쿄 특파원<br> <br>영상취재:박용준 <br>영상편집:최창규<br /><br /><br />김민지 기자 mettymom@donga.com